나쁜 생기부의 특징

    • 나열식 생기부: 단순히 활동을 나열하는 방식으로, 탐구의 깊이가 부족하고 의미가 없음.
    • 스토리 없는 생기부: 학생의 성장 과정과 발전이 보이지 않으며, 대학이 원하는 서사가 없음.
    • 욕심이 많은 생기부: 본인의 수준을 벗어나거나 억지로 꾸며진 활동을 넣어 신뢰성이 낮음.

좋은 생기부의 특징

    • 진정성: 학생이 실제로 한 탐구 활동과 생각이 담겨야 함.
    • 기본 구성 유지: 탐구 활동의 동기 → 진행 과정 → 배운 점 → 앞으로의 계획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야 함.
    • 진로와의 연계: 활동이 단순한 전공 적합성에 머무르지 않고, 진로에 대한 고민과 발전이 보여야 함.
    • 발전 과정 명확: 학년별로 자연스럽게 탐색 → 발전 → 심화가 이루어져야 함.

 

학년별 생기부 구성 전략

      • 1학년: 다양한 관심사를 탐색하는 시기 (씨앗을 뿌리는 단계)
      • 2학년: 관심 분야를 구체화하고 심화 탐구를 시작 (싹을 키우는 단계)
      • 3학년: 특정 전공이나 진로와 연계한 심화된 탐구 활동을 보여줌 (나만의 이야기를 완성하는 단계)

생기부 작성 및 관리 팁

    • 학생이 직접 움직여야 한다: 선생님이 알아서 좋은 생기부를 만들어주지 않으며, 학생이 주도적으로 탐구하고 기록해야 함.
    • 단순 활동 나열이 아니라 의미를 담아야 한다: “무엇을 했는가?”보다 “왜 했는가?” “무엇을 배웠는가?”가 중요.
    • 빠른 준비가 필수: 수행평가와 생기부 마감이 빠르게 진행되므로 미리 계획하고 대비해야 함.

 

잘못된 생기부 작성 방식

    • 단순히 어려운 용어나 전문 지식을 나열하는 것.
    • 본인의 학업 수준과 동떨어진 고급 탐구 주제를 억지로 연결하는 것.
    • 진로와 관련 없는 활동을 끼워 맞추는 것.

hasoomi3

Recent Posts

(세특 사례) 이동 수단의 속도와 도함수 탐구

주제: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과목: 수학 활동 영역: 심화 학습 및 문제 해결 함수의 극한과…

1개월 ago

(세특 사례) 정적분을 활용한 환경문제 해결 탐구

주제: 적분의 응용 과목: 수학 활동 영역: 교내 수학동아리 활동 정적분의 응용 문제를 다루며 실생활에서의…

1개월 ago

(세특 사례) 미적분의 경제학적 활용 연구

주제: 미적분의 실제적 활용 / 과목: 수학 / 활동 영역: 프로젝트 기반 학습 고등학교 2학년…

1개월 ago

(세특 사례) 미적분을 활용한 주차 문제 해결

주제: 미적분을 활용한 실생활 문제 해결 과목: 수학 활동 영역: 프로젝트 기반 학습 미적분 수업에서…

1개월 ago

(세특 사례) 미적분을 활용한 경제 모델 분석

주제: 미적분을 활용한 경제 성장 모델 분석 과목: 수학 활동 영역: 탐구 중심 수학 수업…

1개월 ago

(세특 사례) 미적분을 활용한 최적화 문제 해결

주제: 미적분을 활용한 실생활 문제 해결 과목: 수학 활동 영역: 프로젝트 학습 모든 고등학생은 수학을…

1개월 ago